본문 바로가기

우보면

우보라는 명칭은 조선시대에 "이우보인(以友補仁)"의 우애로써 인(仁)을 서로 돕는다는 뜻과 보(保)의 오래 보전시키자는 의미로 사용하게되었다고 함

나호리(羅湖里)
  • 상,하동(上, 下洞)의 모양이 나비와 같이 생겼으므로 나부리로 부르게 되었다 하며, 또 일설에는 국통산이 주룡(主龍)이고 금강(錦江)이 앞에 흐르고, 산천이 수려하다고 해서 나호(羅湖)라 부르게 되었다고 함
달산리(達山里)
  •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의흥군이 의흥면으로 개편되어 군위군에 속하게 될 때 소달동, 금동, 고산동, 원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소달과 고산의 이름을 따서 달산동(達山洞)이라 하고 군위군 우보면에 편입함.
  • 고산동(高山洞)〔새터, 고산골, 양지마〕은 앞뒷산이 높다고 해서 고산골이라 불리위지고, 또 새터 양지쪽에 위치하고 있다고 하여 양지마라고 부르기도 함.
  • 소달동(所達洞)〔솟달리, 솟따리〕는 앞뒤 산 모양이 솥의 다리같이 생겼다고 하여 솥다리라 부름
두북리(杜北里)
  •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의흥군이 의흥면으로 개편되어 군위군에 속하게 될 때 신기동, 두곡동, 북동, 원제동 일부를 병합하여 두곡과 북동의 이름을 따서 두북동(杜北洞)이라 하고 군위군 우보면에 편입함
  • 조선 선조 40년(1607) 여주인 왕산 이계언이 마을을 개척하고, “산사두 이곡수(山四杜而谷邃)”하다 하여 두곡이라 했으며, 기와골〔북동(北洞)〕은 옛날 이 마을에서 기와를 구었기 때문에 기와골이라 불렀음
모산리(毛山里)
  • 모산리는 새터〔옥전동(玉田洞)〕,소실〔우곡(牛谷)〕등의 자연마을이 속해 있으며, 마을의 개척과정은 잘 알 수 없음
  • 새터는 모산리에 속한 한 마을이나, 모산리보다 늦게 생겼으므로 새터라 부르게 되었고, 소실 뒷산 모양이 흡사 소가 누워있는 것과 같아하여 붙여진 이름임
문덕리(文德里)
  •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의흥군이 의흥면으로 개편되어 군위군에 속하게 될 때 덕산동과 우평동, 문암동의 각 일부를 병합하여 덕산의 이름을 따서 문덕동이라 하고 우보면에 편입됨
  • 껏득골〔거평(巨坪), 덕산동(德山洞)〕은 좁은 산골에 위치하고 있으나, 마을 앞의 들이 비교적 넓다하여 거들이라 하다가 껏득골이라 부르게 됨
미성리(美城里)
  •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의흥군이 의흥면으로 개편되어 군위군에 속하게 될 때 성평동, 부석동, 미대동, 이전동 일부를 병합하여 미대와 성평의 이름을 따서 미성동이라 함
  • 성들〔성뜰, 성평동(城坪洞)〕은 임진왜란 당시에 마을 뒷산(단산)에 성을 쌓았는데 이 마을이 그 산성 아래 위치하고 있으므로 성들이라 하였으며, 미대 동(美垈洞)〔생이골, 상여골〕은 이 마을에 상여집이 있었다고 하여 상여골이라 함. 상여골은 발음 변화로 생이골이라 부르게 됨
봉산리(鳳山里)
  •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의흥군이 의흥면으로 개편되어 군위군에 속하게 될 때 봉강동과 고산동, 무둔동, 원당동의 각 일부와 군위현 중리면 수락동의 일부를 병합하여 봉강(鳳岡)과 고산(高山)의 이름을 따서 봉산 동이라 함
선곡리(仙谷里)
  • 1914년 3월 1일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의흥군이 의흥면으로 개편되어 군위군에 속하게 될 때 선동, 원계동 일부와 의성군 산운면의 개일동 일부를 병합하여 선동과 개일의 이름을 따서 선곡동이라 함 신선이 살았던 마을이라 하여 선동(仙洞)이라 불렀음
이화리(梨花里)
  • 이불갈〔이화동(梨花洞), 이화촌(泥火村)〕은 전설에 의하면 배꽃이 만발하면 조문국 왕이 가끔 산책을 위하여 이곳을 찾았다고 전해지며, 본래 의흥현 내화면 지역으로 고려시대에 니화촌(泥火村) 부곡이 있어 붙여진 이름이라하기도 함. 비호골에 절이 있어 신 각시가 흰 고깔을 쓰고, 시주하러 다니는 광경을 보고 이부가리가 배꽃 모양과 같다고 하여 이화촌(梨花村)이라 부름.
  • 담당부서 : 문화관광과
  • 전화번호 : 054-380-6062
  • 최종수정일 : 2024-02-21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등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