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변화, 행복한 군위

군민들의 변화를 향한 열망을 마음 깊이 새기고
“아름다운 변화 ,행복한 군위”를 만들기 위해 다함께 가도록 하겠습니다.

군위 지보사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軍威 持寶寺 石造阿彌陀如來三尊坐像)

 
군위 지보사 석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상세설명
아미타여래는 서방 정토에 있는 부처인데, 이 부처를 염하면(아미타불) 죽은 뒤에 극락에 간다고 한다. 가운데 중심 불상과 좌우에는 중심 불상을 모시는 보살상이 있다. 불상들의 내부에서 발견된 발원문*을 보면 숙종 12년(1686)에 승호파 상륜이 주도하여 만들었음을 알 수 있다. 조각 책임자인 상륜은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초까지 경상도 일대에서 활발하게 조각 활동을 펼친 승호파의 가장 뛰어난 승려였다. 발원문에 불상 명칭이 기록되어 있지 않으나 불상의 손 모양과 옷 모양으로 보아 중심 불상은 아미타불이고, 좌우 불상은 관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으로 추정한다. 불상이 만들어진 때와 조각승의 이름, 불상을 모신 장소 등이 있어, 조선 후기 불교 조각사를 연구하는 데 중요한 가치가 있다. 또한 작품의 완성도도 뛰어나다.

* 발원문(發願文): 신이나 부처에게 소원을 비는 내용을 적은 글. 불상을 제작할 때 바라고 원하는 것을 적어 그 속에 넣는다.
** 관음보살상: 아미타불의 왼편에서 교화를 돕는 보살. 세상의 소리를 들어 알 수 있는 보살이므로 중생이 고통 가운데 열심히 이 이름을 외면 도움을 받게 된다(관세음보살).
*** 대세지보살상: 아미타불의 오른쪽에 위치하여 아미타불의 지혜문을 상징하는 보살.
  • 담당부서 : 문화관광과
  • 전화번호 : 054-380-6916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등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