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름다운 변화, 행복한 군위

군민들의 변화를 향한 열망을 마음 깊이 새기고
“아름다운 변화 ,행복한 군위”를 만들기 위해 다함께 가도록 하겠습니다.

학위논문

  • 류부현, 「『三國遺事』의 校勘學的 硏究 - 諸板本의 對校를 中心으로-」, 中央大學敎 博士學位論文, 1993.
  • 하정룡, 「『三國遺事』의 編纂과 刊行에 대한 硏究」, 高麗大學敎 博士學位論文, 2002.

학술지 논문

국문
  • 강종훈, 「금석문 자료 활용 방식을 통해 본 『삼국유사』수록 사료의 성격」, 『역사와 담론』 60, 호서사학회, 2011.
  • 고익진, 「『삼국유사』 찬술고」, 『한국사연구』 38, 한국사연구회, 1982.
  • 김두진, 「삼국유사의 체제와 내용」, 『한국학논총』 23,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1.
  • 김두진, 「『삼국유사』 板本의 校勘과 역주본」, 『한국사학보』 제29호, 2007.
  • 김복순, 「『삼국유사』 귀축제사조 연구」,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33,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2.
  • 김상현, 「『삼국유사』의 간행과 유통」, 『한국사연구』 38, 한국사연구회, 1982.
  • 김상현, 「삼국유사 왕력편 검토 - 왕력 찬자에 대한 의문 -」, 『동양학』 15,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소, 1985.
  • 김상현, 「삼국유사의 서지학적 고찰」, 『삼국유사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 김상현, 「일연과 『삼국유사』」, 『경주문화』 7, 경주문화원, 2001.
  • 김상현, 「『삼국유사』론」, 『강좌한국고대사』 1, 가락국사적개발연구원, 2003.
  • 김상현, 「『삼국유사』의 찬 연구」, 『동국사학』 41, 동국사학회, 2005.
  • 김상현, 「삼국유사 고판본과 파른본의 위상」, 『동방학지』 제162집, 2013.
  • 김수현, 「『삼국유사』 피은편의 검토」, 『동국사학』 40, 동국사학회, 2004.
  • 김연민, 「『삼국유사』 혜통강룡조(惠通降龍條)의 전거자료와 기년문제」, 『한국사학사학보』 25, 한국사학사학회, 2012.
  • 김영태, 「삼국유사의 체계와 그 성격」, 『논문집』13, 동국대학교, 1974.
  • 김주한, 「삼국유사소재 '판'에 대하여」, 『삼국유사연구 상』, 영남대학교 민속문화연구소, 1983.
  • 김태식, 「삼국유사에 나타난 일연의 고려시대 인식」, 『울산사학』 창간호, 울산대학교 인문대학 사학과, 1987.
  • 김태영, 「삼국유사에 보이는 일연의 역사인식에 대하여」, 『경희사학』 5, 경희대학교 사학과, 1974.
  • 남권희, 「파른본 『三國遺事』의 書誌 연구」, 『동방학지』 162집, 2013.
  • 남동신, 「『三國遺事』의 史書로서의 特性」, 『불교학연구』 16, 2006.
  • 남무희, 「『삼국유사』 누가 왜 썼고 언제 간행되었나?」, 『내일을 여는 역사』 28, 서해문집, 2007.
  • 도현철, 「조선초기 단군 인식과 『삼국유사』 간행」, 『동방학지』 제162집, 2013.
  • 류부현, 「『삼국유사』 권2에 대한 서지학적 고찰 - 전존본의 대교를 중심으로 -」, 『동방학지』 76, 1992.
  • 류부현, 「『삼국유사』 왕력 교강고 - 제판본의 대교를 중심으로 -」, 『사학연구』 43, 44, 1992.
  • 박대재, 「『삼국유사』 판본의 몇 가지 문제점」, 『고려대학교 한국사연구소』, 2009.
  • 박미선, 「일연의 신라사 시기구분 인식-삼국유사 기이편을 중심으로」, 『역사와 현실』 70, 한국역사연구회, 2008.
  • 심우준, 「일연의 삼국유사에 대하여」, 『한국학』 13, 중앙대학교 한국학연구소, 1977.
  • 이강래, 「『삼국유사』의 사서적 성격」, 『한국고대사연구』 40, 한국고대사학회 서경문화사, 2005.
  • 이강래, 「『삼국유사』 편찬의 유기성 문제」, 『역사학연구』 40, 2007.
  • 이근직, 「『삼국유사』 왕력의 편찬성격과 시기」, 『한국사연구』 101, 한국사연구회, 1998.
  • 이기백,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의의」, 『진단학보』 36, 진단학회, 1973.
  • 이기백, 「『삼국유사』 왕력 조의 검토」, 『역사학보』 107, 역사학회, 1985.
  • 이기백, 「『삼국유사』 흥법편의 취지」, 『진단학보』 89, 진단학회, 2000.
  • 이동근, 「삼국유사의 편찬배경과 과정」, 『인문과학예술문화연구』 16, 1997.
  • 이영호, 「『삼국유사』 '포산이성'조와 일연」,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31, 경주시, 신라문화선양회,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2010.
  • 이재범, 「『삼국유사』 보양이목조의 검토」,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33,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2.
  • 이재원, 「『삼국유사』의 시조설화에 나타난 일연의 역사인식」, 『전북사학』 8, 전북대학교 사학회, 1984.
  • 장덕순, 「삼국유사 소재의 설화 분류」, 『인문과학』 2, 연세대학교, 1958.
  • 장충식, 「『삼국유사』 탑상편 체재의 검토」, 『동악미술사학』 2, 동악미술사학회, 2001.
  • 정구복, 「삼국유사의 사학사적 고찰」, 『삼국유사의 종합적 검토』,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 주보돈, 「『삼국유사』 '염불사'조의 음미」,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31, 경주시, 신라문화선양회, 동국대 신라문화연구소, 2010.
  • 채상식, 「일연(1206~1289)의 사상적 경향」, 『한국문화연구』 1, 부산대학교 한국문화연구소, 1988.
  • 채상식, 「범어사 소장 『三國遺事』의 자료적 가치」, 『지역과 역사』 27, 2010.
  • 최광식 외, 「『삼국유사』 점교(2)」, 『한국사학보』 13, 고려사학회, 2002.
  • 최광식 외, 「『삼국유사』 점교(3)」, 『한국사학보』 15, 고려사학회, 2003.
  • 최광식 외, 「『삼국유사』 점교(4)」, 『한국사학보』 32, 고구려사학회, 2008.
  • 최광식 외, 「『사료연구』 삼국유사 점교(5)」, 『한국사학보』 33, 고려사학회, 2008.
  • 최병헌, 「『삼국유사』 의해와 신라불교사」,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33, 동국대학교 신라문화연구소, 2012.
  • 최영호, 「『江華京板 高麗大藏經』 邊界線 소재 인명의 판각사업 참여형태」, 『한국중세사연구』 2, 1995.
  • 하일식, 「『삼국유사』 파른본과 임신본의 비교 검토」, 『동방학지』 제162집, 2013.
  • 하정룡, 「『三國遺事』 校勘에 對한 書誌學的 考察」, 『한국전통문화연구』 제11집, 1996.
  • 하정룡, 「『三國遺事』 鶴山李仁榮 舊藏古版筆寫本의 書誌學的 考察」, 『백산학보』 제50호, 1998.
  • 하정룡, 「『삼국유사』 최고본의 간행시기 - 학산 조종업소장고판본을 통한 접근 -」, 『사학연구』 55,56합집 (죽전신재홍박사 정년퇴임기념논문집), 한국사학회, 1998.
  • 하정룡, 「『삼국유사』의 편찬과 간행」, 『선사와 고대』 11, 한국고대학회, 1998.
  • 하정룡, 「『삼국유사』 소재 찬에 대하여」, 『남도문화연구』 7, 남도문화연구소, 2003.
  • 하정룡, 「1394년 이전에 유통된 『삼국유사』에 대하여」, 『한국상고사학보』 39, 한국상고사학회, 2003.
  • 하정현, 「13세기 고려 불교계의 경향과 『삼국유사』」, 『종교와 문화』 8, 서울대 종교문제연구소, 2002.
  • 허흥식, 「『삼국유사』를 저술한 시기와 사관」, 『인하사학』 10, 인하역사학회, 2003.
일문
  • 금서룡(今西龍), 「고려 보각국존 일연에 대하여」, 『예문』 7, 경도제국대학 경도문학회, 1918.
  • 금서룡(今西龍), 「정덕간본 삼국유사에 대하여」, 『고려사연구』, 근택서점, 1944.
  • 고교형(高橋亨), 「삼국유사의 주 및 단군전설의 발전」, 『조선학보』 7, 조선학회, 1955.
  • 담당부서 :
  • 전화번호 :
  • 최종수정일 : 2023-07-19

현재 페이지의 정보 및 편의성에 만족하십니까?

등록하기